2025/05 3

401시 토큰 재발급

이번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로그인, 회원가입 기능을 맡게 됐다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낼 때 accessToken을 같이 보내게 되는데, 토큰이 없거나 만료되면,서버에서 상태 코드 401을 반환한다 그래서 상태코드가 401이고, refreshToken이 있으면 토큰을 재발급을 받는 코드를 작성했는데 막상 코드를 재발급을 받은 후에 재요청이 가지 않았다 해결방법우리 프로젝트에선 Axios Interceptors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asxios interceptors가 뭐냐면 쉽게 말해 요청 전후의 데이터를 가로채서 우리 마음대로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나는 Interceptors안에서 재발급코드와, 재요청 로직을 작성했다let isRefreshing = false; // 지금 토큰을 재발급 받고 있는지 ..

카테고리 없음 2025.05.17

localhost의 동작 원리

개발환경에서 우리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면 localhost를 사용하여 접속한다 나에게 익숙한 localhost는 react와 node.js의 기본 포트인 localhost:3000이나, Vite의 기본포트인 localhost:5173이다 여기서 공통적인 부분은 localhost부분이다 내가 바닐라 html을 처음 배울 때부터 localhost를 사용해 왔는데,정작 이게 정확이 뭔지, 또 어떻게 작동하는 건지 몰랐다 나의 PC의 OS가 window이기 때문에 window를 중점으로 설명을 하겠다Localhost 로컬호스트는 나의 PC에서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주소다 엄밀히 말하자면 localhost는 그저 호스트 명일뿐이고 실상은 그 ip주소인 127.0.0.1을 칭하는 말이고,나의 PC에서 loca..

카테고리 없음 2025.05.12

shadcn

이제까지는 약간 shadcn의 대한 이해가 두루뭉실했는데, 최근에 이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보니 이해가 단번에 되어서 shadcn을 주제로 블로그 글을 적어보았다Shadcn 세련된 디자인과 뛰어난 접근성을 갖춘 컴포넌트 모음, 그리고 코드 배포 플랫폼.선호하는 프레임워크와 호환되며, 오픈소스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shadcn/ui란 Radix UI 및 Tailwind CSS를 사용하여 구축된 복사하여 붙여 넣을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의 모음이다 shadcn/ui는 기존의 컴포넌트 라이브러리(예: MUI, Chakra UI 등)와는 다른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라이브러리를 설치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컴포넌트를 복사해서 프로젝트 안에 구성하게 된다 그래서 공식문서를 보면 컴포넌트 ..

Javascript/React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