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 4

프록시(proxy)

이번에 프락시란 개념을 들어서 알아봤다프록시(proxy)프록시(proxy)란 대신 요청하고 응답을 중계해 주는 것 역할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직접 요청을 보내는 게 아니라프록시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그요청을 프록시 서버가 그 요청을 원래의 서버에 보낸다 또 서버의 응답을 프록시 서버를 통해 클라이언트로 보낸다 왜 바로 서버에 보내면 될 것을 굳이 중간에서 서버를 거쳐서 요청을 보내고 받을까? 목적1. 캐시 데이터프록시 서버의 기능 중에는 요청된 내용을 캐시를 사용해 저장한다 캐시 되어있는 데이터에 대한 재요청은 따로 서버에 요청을 보낼 필요 없이 데이터를 보내면 돼서 응답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서버로 가는 부담이 적어져 네트워크 병목현상도 방지가 가능하다 2. 보안브록시 서버를 경유해서 서버에 접속하면 ..

카테고리 없음 2025.04.23

history api 알아보기

내가 예전에 react-router-dom을 공부할 때 history api라는 개념을 처음 들었다 그때는 그냥 브라우저에서 방문한 페이지를 stack으로 쌓아서 관리한다 정도로만 이해했었다 이번에는 조금더 깊이 공부하겠다history APIhistory api는 전역 객체를 사용하여 브라우저의 세션 히스토리에 대한 접근과 조작 기능을 제공한다 즉 내가 참조한 세션을 stack형태로 쌓아서 저장한다 원래 브라우저의 history는 새로고침하거나 링크를 눌러 이동해야 history가 쌓였다하지만 SPA가 도입되면서 url이동을 하지 않으니 history가 쌓이지 않고 뒤로 가기 같은 기능이 수행되지 않아 사용자사용경험이 떨어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history api가 만들어 졌다중요 메소드1. back..

카테고리 없음 2025.04.16

SEO 최적화

오늘은 SEO최적화의 원리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았다원래 예전에 작성했지만 저때 일이 많아 묻혔다.그러나 이번에 친구가 블로그글을 작성한 것을 보고 생각이나 마저 작성해 보았다SEO란?SEO는 (Search Engine Optimization)의 약자로 우리말로 풀이하면 검색엔진 최적화다 SEO가 최적화가 되어있으면웹사이트가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에서 더 높은 순위를 차지합니다 더욱 높은 순위로 표시가 되면 더욱 많은 사용자를 모을 수 있습니다 SEO는 개념적으로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1. 기술적 최적화검색 엔진이 웹사이트를 더 잘 이해하고 크롤링할 수 있도록 사이트 구조와 기술적인 부분에서 최적화를 하는 방법입니다 크롤링은 쉽게 말해 검색 엔진이 자동화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방문하고 정보를..

카테고리 없음 2025.04.09

웹페이지 배포과정

내가 보통 프로젝트를 배포 할 때엔 vercel을 사용하여 배포를 한다 그런데 내가 만든 웹페이지가 배포되는 과정은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이렇게 공부해 봤다배포웹페이지 배포란 내가 만든 웹페이지를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올리는 행위 요즘은 Vercel이나 Netlify 같은 플랫폼들을 사용해서 쉽게 쉽게 배포 하게 되었다과정코드 작성, 빌드, 서버 업로드, 도메인 연결, 배포의 과정을 거친다1. 코드 작성일단 당연하게 우리가 작성한 html코드가 있어야 한다2. 빌드빌드는 소스 코드 및 구성 요소들을 모아서 실행할 수 있는 파일로 만들고 최종적으로 배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1. 트랜스 파일링우리가 작성한 최신 코드를 구형 브라우저가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한다 TS나 JSX..

카테고리 없음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