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js를 사용할 때 불편한 점이 있다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중에 하나는 이 변수가 string인지 int인지 모른다는 점이다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는 js의 상위 언어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js에 정적인 타입을 추가해서 코드의 안정성과 가독성을 높였습니다
react처럼 라이브러리가 아니라 상위 개념의 언어입니다
그렇다고 전혀 다른 언어가 아니라 js코드로 변환되어 실행되기 때문에
React 같은 라이브러리와도 호환성이 좋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사용하는 방법
ts에서 타입을 지정해 주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 >를 사용해서 타입을 정의한다
const a: number = 5;
const b: string = "3";
타입을 선언하는 행위는 함수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function sum(a: number, b: number): number {
return a + b;
}
이렇게 매개변수의 타입을 정의할 수도 있고 리턴값을 정의할 수 도 있다
타입은 or 연산자를 사용하여 여러 개를 지정할 수도 있는데
function def(a: number | string, b: number | string): number | string {
return /**/;
}
이렇게 중복으로 선언할 수 있다
사용하는 예시를 들어 보자면
const a = 10;
const b = "3";
console.log(a*b);
위처럼 코드를 짜면 실행은 되지만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ts를 사용한다
const a: number = 5;
const b: string = "3";
console.log(a * b); //<- 에러
위처럼 에러로 표시가 된다
결론
ts를 미루다 미루다 공부해 봤는데 장점이 명확하여 굳이 사용하지 않을 필요가 없는 언어라고 생각한다
'Javascript > Type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타입 에일리어스 (0) | 2024.11.11 |
---|